맨위로가기

김운경 (작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운경은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이다. 부산 출신으로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서민들의 삶과 애환을 다룬 드라마를 주로 집필하며, 드라마 작가 김수현이 먼저 찾아보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MBC 《서울의 달》로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을 수상했으며, 《돌아온 뚝배기》, 《짝패》, 《유나의 거리》 등 다수의 작품을 통해 사회 비판 의식을 담아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극작가 - 유시민
    유시민은 경주 출신의 작가이자 정치인, 유튜버로, 민주화 운동 참여,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작가, 방송인, 유튜버로 활동하며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지낸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극작가 - 구상 (시인)
    구상(1919-2004)은 서울 출생으로 원산에서 성장하여 니혼 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 종군 기자, 언론 운동, 영남일보 편집장 등을 거쳐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시집 《초토의 시》 등을 발표했으며, 프랑스 문부성에서 세계 200대 시인으로 선정되었고 폐질환으로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각본가 - 양근승
    양근승은 영화, 라디오 드라마, 텔레비전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다수의 극본을 집필했고, 백상예술대상, 농업인의 날 대통령 표창, KBS 연기대상 공로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각본가 - 나연숙
    나연숙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드라마 작가, 영화 각본가로, 1965년 소설가로 등단하여 영화 각본과 각색, 드라마 작가로 활동하며, 극작가 나한봉의 동생이다.
  • 한국방송대상 - 맹형규
    맹형규는 1946년 서울 출생으로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언론인, 국회의원, 대통령실 정무수석비서관, 행정안전부 장관을 역임했다.
  • 한국방송대상 - 김숙
    김숙은 1995년 KBS 희극 배우로 데뷔하여 '따귀 소녀'로 인기를 얻은 후 다양한 예능, 라디오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2020년 KBS 연예대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자 방송인이다.
김운경 (작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운경
출생일1954년 2월 23일
출생지대한민국 경상남도 부산시
직업작가
국적대한민국
활동 기간1981년~2020년
장르텔레비전 드라마 시나리오 극본 집필

2. 생애

김운경 작가의 사진


'''김운경'''(金雲耕|김운경중국어)은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이다. 부산에서 태어나 동인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예술전문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부산에서 태어났으며 동인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예술전문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3. 작품 세계

김운경 작가는 주로 서민들의 애환을 다룬 드라마를 집필하여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문학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 그의 작품은 단순한 흥행을 넘어, 한국 사회의 단면을 예리하게 포착하고 소외된 이웃에게 따뜻한 시선을 보내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5.18을 다룬 MBC 특집극 '낮에도 별은 뜬다', 3·15 의거를 소재로 한 '누나의 3월' 등 역사적 사건을 조명하여 민주화 운동의 의미를 되새겼다. 또한, '서울뚝배기', '짝패', '유나의 거리' 등 서민들의 삶과 애환을 생생하게 그린 작품들은 많은 시청자들에게 깊은 공감과 감동을 선사했다.[1]

3. 1. 서민들의 삶과 애환

주로 서민들의 애환을 다룬 드라마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작가로 유명하며, 한·중·일 드라마 작가들이 뽑은 작가로 선정될 정도로 아시아 드라마 작가들의 큰 스승이기도 하다. 드라마 작가 김수현이 먼저 찾아보는 작품을 쓰는 작가이기도 한 그는 물질만능주의에 지친 소시민들에게 큰 위로와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예술성 높은 드라마를 추구한다. 드라마적 리얼리즘을 추구하는 그의 드라마는 문학성까지 겸비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1]

MBC 《서울의 달》로 제7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 최초 수상의 영예를 안았고, 이후 수많은 드라마로 수상 대상자에 선정되었다. 한때 금산산악회를 결성해 많은 예술가들의 든든한 아버지 역할을 하기도 했으며, 지지와 후원을 아끼지 않는 깨어있는 지식인이기도 하다.[1]

영화감독 봉준호 역시 그의 팬으로 알려져 있다. ‘도둑의 딸’과 이후 김운경 작가의 세계에서만 만날 수 있는 페이소스 넘치는 유머코드는 봉준호의 영화에도 간혹 묻어난다.[1]

장편뿐 아니라 특집극에서도 그의 작품 세계는 뛰어난 서사와 캐릭터를 구사한다. 5.18을 다룬 MBC 특집극 ‘낮에도 별은 뜬다’는 당시로써는 처음으로 5.18을 재조명한 작품이다. 이후 MBC 경남창원본부에서 방영된 ‘누나의 3월’은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화 운동인 3·15 의거를 소재로 한 드라마로 여의도 국회에서 시사회가 열렸으며 국회의원들의 교육용 드라마로 상영했다. 방송에서는 이례적으로 지역 방송국에서 먼저 방영 후 4.19를 하루 앞둔 4월 18일 전국으로 방송되었다.[1]

KBS 드라마본부에서 리메이크 드라마로 제작된 《돌아온 뚝배기》의 원작 ‘서울뚝배기’를 토대로 했으며 정연주 KBS 사장이 가장 애청했던 드라마이기도 하다. 그의 드라마적 특색 중 하나는 강렬한 서사보다는 서민들의 생활사가 묻어나는 생생한 캐릭터 중심의 서사에 있다. 캐릭터가 강하다 보니 그의 드라마를 거쳐간 수많은 배우들은 그 역할의 캐릭터로 평생을 이미지 메이킹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

이는 뛰어난 관찰과 취재력에 바탕을 두고 있다. 노숙자를 그리기 위해 서울역에서 노숙자들과 함께 생활하고, ‘서울뚝배기’를 쓰기 위해 전국의 뚝배기 집들을 섭렵하는 등의 이야기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1]

MBC에서 방영된 미니시리즈 ‘짝패’로 영웅의 일대기나 업적 위주의 사극이 아닌 민초들의 삶을 심도 있게 조명한 사극을 그리기도 했다. ‘짝패’의 감독이었던 임태우와 의기투합해 JTBC에서 방영한 ‘유나의 거리’는 도시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의 밑바닥 인생과 애환을 그린 수작으로 백상예술대상에 선정되었으나 항간에는 수상을 본인이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1]

소위 먹물 드라마를 그리는 것으로 알려진 그는 치열한 시대정신과 서민들을 향한 연민으로 지금도 새로운 작품을 구상 중이며 그의 팬들은 언제나 그의 작품을 기다리고 있다.[1]

3. 2. 사회 비판 의식

김운경은 주로 서민들의 애환을 다룬 드라마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작가로 유명하다. 한·중·일 드라마 작가들이 뽑은 '작가의 작가'로 선정될 정도로 아시아 드라마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드라마 작가 김수현이 먼저 찾아보는 작품을 쓰는 작가로도 알려져 있으며, 물질만능주의에 지친 소시민들에게 위로와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예술성 높은 드라마를 추구한다. 그의 드라마는 드라마적 리얼리즘을 추구하며 문학성까지 겸비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MBC 드라마 《서울의 달》로 제7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에서 최초로 수상하였고, 이후 많은 드라마로 수상 대상자에 선정되었다. 금산산악회를 결성하여 많은 예술가들을 후원했으며, 깨어있는 지식인이기도 하다.

영화감독 봉준호도 그의 팬으로 알려져 있다. '도둑의 딸'과 김운경 작가의 작품 세계에서만 만날 수 있는 페이소스 넘치는 유머 코드는 봉준호의 영화에도 영향을 주었다.

장편 드라마뿐만 아니라 특집극에서도 뛰어난 서사와 캐릭터를 보여준다. 5.18 민주화 운동을 다룬 MBC 특집극 '낮에도 별은 뜬다'는 당시로써는 처음으로 5.18을 재조명한 작품이다. 이후 MBC 경남창원본부에서 방영된 '누나의 3월'은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화 운동인 3.15 의거를 소재로 한 드라마로, 여의도 국회에서 시사회가 열렸으며 국회의원들의 교육용 드라마로 상영되었다. 이 드라마는 이례적으로 지역 방송국에서 먼저 방영된 후, 4.19 혁명 하루 전날인 4월 18일에 전국으로 방송되었다.

KBS 드라마본부에서 리메이크된 《돌아온 뚝배기》는 그의 원작 '서울뚝배기'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KBS 정연주 사장이 가장 애청했던 드라마이기도 하다. 그의 드라마는 강렬한 서사보다는 서민들의 생활사가 묻어나는 생생한 캐릭터 중심의 서사가 특징이다. 캐릭터가 강하다 보니 그의 드라마를 거쳐간 많은 배우들은 그 역할의 캐릭터로 평생을 이미지 메이킹 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뛰어난 관찰력과 취재력에 바탕을 둔 것이다. 노숙자를 그리기 위해 서울역에서 노숙자들과 함께 생활하고, '서울뚝배기'를 쓰기 위해 전국의 뚝배기 집들을 섭렵하는 등 취재에 열정적이었다.

MBC에서 방영된 미니시리즈 '짝패'에서는 영웅의 일대기나 업적 위주의 사극이 아닌, 민초들의 삶을 심도 있게 조명한 사극을 선보였다. '짝패'의 감독이었던 임태우와 의기투합하여 JTBC에서 방영한 '유나의 거리'는 도시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의 밑바닥 인생과 애환을 그린 수작으로, 백상예술대상에 선정되었으나, 항간에는 수상을 본인이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먹물 드라마'를 그리는 것으로 알려진 그는 치열한 시대정신과 서민들을 향한 연민으로 지금도 새로운 작품을 구상 중이며, 그의 팬들은 언제나 그의 작품을 기다리고 있다.

3. 3. 역사적 사건 조명

MBC 특집극 ‘낮에도 별은 뜬다’는 당시로써는 처음으로 5·18을 재조명한 작품이다.[1] 이후 MBC 경남창원본부에서 방영된 ‘누나의 3월’은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화 운동인 3·15 의거를 소재로 한 드라마로 여의도 국회에서 시사회가 열렸으며 국회의원들의 교육용 드라마로 상영되었다.[1] 방송에서는 이례적으로 지역 방송국에서 먼저 방영 후 4·19를 하루 앞둔 4월 18일 전국으로 방송되었다.[1]

3. 4. 문학적 성취

주로 서민들의 애환을 다룬 드라마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유명 작가이며, 한·중·일 드라마 작가들이 뽑은 작가로 선정될 정도로 아시아 드라마 작가들의 큰 스승이기도 하다. 드라마 작가 김수현이 먼저 찾아보는 작품을 쓰는 작가이기도 한 그는 물질만능주의에 지친 소시민들에게 큰 위로와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예술성 높은 드라마를 추구한다. 드라마적 리얼리즘을 추구하는 그의 드라마는 문학성까지 겸비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1]

MBC 《서울의 달》로 제7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 최초 수상의 영예를 안았고, 이후 수많은 드라마로 수상 대상자에 선정되었다. 한때 금산산악회를 결성해 많은 예술가들의 든든한 아버지 역할을 하기도 했으며, 지지와 후원을 뒤에서 아끼지 않는 깨어있는 지식인이기도 하다.[1]

영화감독 봉준호 역시 그의 팬으로 알려져 있다. ‘도둑의 딸’과 이후 김운경 작가의 세계에서만 만날 수 있는 페이소스 넘치는 유머코드는 봉준호의 영화에도 간혹 묻어난다.[1]

장편뿐 아니라 특집극에서도 그의 작품 세계는 뛰어난 서사와 캐릭터를 구사한다. 5.18을 다룬 MBC 특집극 ‘낮에도 별은 뜬다’는 당시로써는 처음으로 5.18을 재조명한 작품이다. 이후 MBC 경남창원본부에서 방영된 ‘누나의 3월’은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화 운동인 3·15 의거를 소재로 한 드라마로 여의도 국회에서 시사회가 열렸으며 국회의원들의 교육용 드라마로 상영했다. 방송에서는 이례적으로 지역 방송국에서 먼저 방영 후 4.19를 하루 앞둔 4월 18일 전국으로 방송되었다.[1]

KBS 드라마본부에서 리메이크 드라마로 제작된 《돌아온 뚝배기》의 원작 ‘서울뚝배기’를 토대로 했으며 KBS 정연주 사장이 가장 애청했던 드라마이기도 하다. 그의 드라마적 특색 중 하나는 강렬한 서사보다는 서민들의 생활사가 묻어나는 생생한 캐릭터 중심의 서사에 있다. 캐릭터가 강하다 보니 그의 드라마를 거쳐간 수많은 배우들은 그 역할의 캐릭터로 평생을 이미지 메이킹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

이는 뛰어난 관찰과 취재력에 바탕을 두고 있다. 노숙자를 그리기 위해 서울역에서 노숙자들과 함께 생활하고, 서울뚝배기를 쓰기 위해 전국의 뚝배기 집들을 섭렵하는 등의 이야기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1]

MBC에서 방영된 미니시리즈 ‘짝패’로 영웅의 일대기나 업적 위주의 사극이 아닌 민초들의 삶을 심도 있게 조명한 사극을 그리기도 했다. ‘짝패’의 감독이었던 임태우와 의기투합해 JTBC에서 방영한 ‘유나의 거리’는 도시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의 밑바닥 인생과 애환을 그린 수작으로 백상예술대상에 선정되었으나 항간에는 수상을 본인이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1]

소위 먹물 드라마를 그리는 것으로 알려진 그는 치열한 시대정신과 서민들을 향한 연민으로 지금도 새로운 작품을 구상 중이며 그의 팬들은 언제나 그의 작품을 기다리고 있다.[1]

4. 주요 작품

김운경 작가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아래 표는 드라마와 특집극을 모두 포함한다.

연도제목방송사유형연출비고
1981포도대장KBS작가 다수
1983형사기동대KBS한대희
1984공대수KBS
1984TV문학관 - 웃음소리KBS전세권
1985TV문학관 - 회선KBS장기오
1985TV문학관 - 너무 큰 나무KBS
1986원효대사KBS
1986이화에 월백하고KBS
198787 행복을 찾습니다 - 제3화 꽃동네KBS
1987TV문학관 - 아버지의 땅KBS김현준
1987TV문학관 - 내일의 삽화KBS김현준
1987TV문학관 - 아내의 노란 우산KBS김현준[7]
1987드라마 초대석 - 가을비KBS엄기백
1987이차돈KBS1특집이종한
1987탑리KBS1특집이종한
1988한지붕 세가족MBC
1988한씨 연대기KBS
1989회전목마KBS안영동
1989독도 수비대MBC특집이진석[6]
1990서울뚝배기KBS김연진
황은진
1992KBS황은진
1993드라마게임 - 쌀KBS단막이덕건
1993낙동강MBC특집박복만[4][5]
1993베스트극장 - 사과 하나 별 둘MBC단막정운현
1994어머니MBC특집황은진[3]
1994나좀 봅시다MBC
1994서울의 달MBC정인
1995옥이 이모SBS성준기
1996드라마게임 - 끝없는 아리아KBS정영철[2]
1997파랑새는 있다KBS전산
1998흐린 날에 쓴 편지SBS
1999아름다운 서울MBC
2000도둑의 딸SBS
2001낮에도 별은 뜬다MBC
2003죽도록 사랑해MBC
2005황금사과KBS
2008돌아온 뚝배기KBS이덕건
2010누나의 3월마산MBC전우석
2011짝패MBC
2014유나의 거리JTBC


4. 1. 드라마

연도제목방송사유형연출비고
2014유나의 거리JTBC
2011짝패MBC
2010누나의 3월마산MBC전우석
2008돌아온 뚝배기KBS이덕건
2005황금사과KBS
2003죽도록 사랑해MBC
2001낮에도 별은 뜬다MBC
2000도둑의 딸SBS
1999아름다운 서울MBC
1998흐린 날에 쓴 편지SBS
1997파랑새는 있다KBS전산
1996드라마게임 - 끝없는 아리아KBS정영철[2]
1995옥이 이모SBS성준기
1994서울의 달MBC정인
1994나좀 봅시다MBC
1994어머니MBC특집황은진[3]
1993베스트극장 - 사과 하나 별 둘MBC단막정운현
1993낙동강MBC특집박복만[4][5]
1993드라마게임 - 쌀KBS단막이덕건
1992KBS황은진
1990서울뚝배기KBS김연진
황은진
1989독도 수비대MBC이진석[6]
1989회전목마KBS안영동
1988한씨 연대기KBS
1988한지붕 세가족MBC
1987탑리KBS1특집이종한
1987이차돈KBS1특집이종한
1987드라마 초대석 - 가을비KBS엄기백
1987TV문학관 - 아내의 노란 우산KBS김현준[7]
1987TV문학관 - 내일의 삽화KBS김현준
1987TV문학관 - 아버지의 땅KBS김현준
198787 행복을 찾습니다 - 제3화 꽃동네KBS
1986이화에 월백하고KBS
1986원효대사KBS
1985TV문학관 - 너무 큰 나무KBS
1985TV문학관 - 회선KBS장기오
1984TV문학관 - 웃음소리KBS전세권
1984공대수KBS
1983형사기동대KBS한대희
1981포도대장KBS작가 다수


4. 2. 특집극

연도제목방송사유형연출비고
1994어머니MBC특집황은진[3]
1993낙동강MBC특집박복만[4][5]
1989독도 수비대MBC특집이진석[6]
1987탑리KBS1특집이종한
1987이차돈KBS1특집이종한


5. 수상 경력

참조

[1] 뉴스 연극배우 故(고) 秋(추)송웅·레슬러 千(천)규덕씨 아들 TV일일극 함께 출연 話題(화제)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9-06-16
[2] 뉴스 주차공간싸고 선후배 갈둥 드라마게임〈끝없는 아리아〉(K2일 밤 9시) https://newslibrary.[...] 한겨레 1996-07-06
[3] 뉴스 방송3社(사) 설특집극 연극·영화인 대거참여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4-01-18
[4] 뉴스 TV연예 KBS「시인…」MBC「낙동강」SBS「소망」8.15특집극 화제 풍성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3-07-22
[5] 뉴스 TV 8.15특집 韓(한)·日(일)관계 다각조명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3-08-07
[6] 뉴스 TV 편성표 http://newslibrary.n[...]
[7] 뉴스 「TV문학관」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7-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